접근성과 보장수준이란..?

장애유형

시각 장애인들은 육안으로 표현되는 정보를 음성으로 듣거나 점자로 읽을 수 있기를 원합니다. 반대로 청각 장애인들은 소리로 제공되는 정보를 육안으로 볼 수 있기를 바라며, 지체부자유자들은 가능한 한 조금만 음직여도 원하는 조작을 할 수 있기를 원하비다. 또한, 노인이나 약시와 같이 잘 읽을 수 없는 사람들은 정보를 큰 소리로 읽어주기를 원합니다.

"WAI에서는 웹 콘텐츠를 개발할 때에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장기구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계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보장기구

요즈음에는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재활 기술이 많이 발달하여 장애 유형에 따라 필요한 보장기구를 사용하면 불편없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들은 육안으로 표현되는 정보를 스크린리더를 사용하여 소리로 듣거나 무지점자기 를 사용하여 점자로 읽을 수 있습니다. 또한, 키보드만으로 컴퓨터를 충분히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WAI에서는 웹 콘텐츠를 개발할 때에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장기구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계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져 상에 표시되는 그림(또는 이미지)들은 그 내용을 대체 텍스트를 이용하여 설명해주지 않는 한 시각장애인들은 그림을 인지할 수 없습니다.

웹 콘텐츠의 보장수준

동영상이나 비디오 파일의 경우에는 파일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대체텍스트를 이용하여 설명을 붙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동영상이나 비디오 파일에 캡션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두가지 방법으로 구성한 콘텐츠를 비교하면 후자의 방법이 전자의 방법에 비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관계를 웹접근성의 보장 수준이라고 합니다. 즉, 후자의 방법이 전자의 방법에 비하여 웹접근성 보장수준이 좀더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