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노인복지시설 EGELY
- 복지로그/유럽연수기
- · 2009. 4. 8.
장애인 웹접근성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 복지로그/복지iN
- · 2009. 4. 4.
2011년 보건복지부 모니터링단으로 활동할 시, 모니터링단 종료식떄 잠깐의 강의(?) 보다는 프레젠테이션으로 진행하였던 PPT 자료입니다. 짧은 시간이였지만, 시각장애인이 스마트폰을 이요한 인터넷 사용 방법의 테스트와 간략한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실시 하였습니다.
드림위버를 통한 웹표준 코딩 가이드 입니다. 저도 우연히 서핑하다가 발견하였는데.. 정말로 자료가 많은 사이트 입니다. 복지기관의 담당자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접속주소 : http://naradesign.net/open_content/lecture/DW&CSS/
세미나를 준비하며 저도 마찬가지지만, 웹 개발자들은 여러 지침과 웹 표준/웹 접근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있지만, 실제로 장애인이 어떻게 보조기기를 통해 내가 만든 웹사이트를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늘 궁금합니다. 또한 작업을 하면서 지침 등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어려워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장애인이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모습을 본 적도 없고, 실제로 본인이 사용해 본 적도 없기 때문입니다. 몇 달전 술자리에서 이런 저런 얘기를 하던 중, 백남중 팀장님께서 개발자들에게 스크린 리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자리에 있던 다른 분들도 호응이 좋았고, 그날 이후 백남중 팀장님 외 여러 분들과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KADO-WAH란? KADO-WAH는 웹 사이트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입니다. 웹 페이지의 접근성 준수여부를 평가하고 접근성의 오류들을 바로 잡아주는 수정 과정을 통해서 웹 개발자와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장애인들이 웹페이지 접근이 용이한 웹 사이트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제작하였습니다. 기본 요구 사양 프로세서 : Intel Pentium III 이상 메모리 : 256MB RAM 이상 운영체제 : Window 98 이상 하드디스크 : 전문가 평가, 사용자 평가 추진체계 본 평가 결과는 자동검사항목(오류)과 수동 검사항목(경고, 수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류는 접근성 지침의 위반여부를 프로그램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항목..
인증 절차 인증 절차 도식도 품질마크 인증신청 (신청자) 품질마크 심사 1.사전심사 2.전문가심사 3.사용자심사 품질마크 심의 (위원회) 불합격(Fail)→ 품질마크 인증신청(신청자) 단계 합격(Pass)→ 품질마크 부여(KADO) 품질마크 부여 (KADO) 1년간 마크사용 1년후→ 갱신심사 단계 갱신심사 합격(Pass)→ 1년간 마크사용 단계 불합격(Fail)→품질마크 인증신청 (신청자) 단계 인증 절차 안내 신청기관은 인증 신청서, 사전 설문지, 법인등록증 사본을 인증기관에 제출 인증기관은 자동심사 실시, 자동평가(KADO-WAH)로 심사 가능한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 인증기관은 전문가 심사 실시 웹 접근성 체크리스트에 의한 전문가 평가 인증기관은 사용자 심사 실시 장애인, 노인 등에 의한 사용성 평가..
웹 접근성 품질마크란? 장애인 및 고령자가 웹 사이트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웹 접근성 표준지침을 준수한 우수 사이트에 대해 웹 접근성 수준을 인정하고 이를 상징하는 품질마크를 부여하는 인증제도 배경 웹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국내 대부분 사이트의 웹 접근성 수준은 매우 낮음 공공기관에서 조차도 웹 접근성이 선진국들에 비하여 낮아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중요 정보도 접근이 어려운 실태 인증대상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인터넷을 통해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운영 기관 및 단체 법인등록사업자로서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시민단체, 기업체 등 기대효과 웹 접근성 수준 향상을 통해 지식정보사회의 정보접근권 제고 고객 신뢰도 및 만족도 제고와 사회적 공헌 국내 웹 개발 환경..
이 자료는 WebAIM(http://www.webaim.org)에서 제공하고 있는 장애분류 자료를 필요에 맞고 간단하게 재구성한 것입니다. WebAIM은 유타주립대학 내에 있는 CPD(th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es) 에 속한 비영리 기관으로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웹접근성 관련 제품 제공 및 컨설팅, 리포팅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시각장애 시각장애는 크게 전맹, 저시력, 색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맹 시력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어느 정도 시력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일을 수행하는 데 있어 그것을 활용하지 않는다. 컴퓨터 사용시 모니터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마우스로 어디를 클릭해야 할 지 모른다. 전맹자를 위한 보조공학기기 스크린리더 점자인식기 웹접근성 보장을..
웹 접근성에 대한 W3C의 정의 W3C의 WAI 에서는 웹 접근성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Web accessibility mean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use the Web. 웹 접근성은 장애를 지닌 사람이 웹을 이용할 수 있는것을 의미한다. More specifically, Web accessibility mean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perceive, understand, navigate, and interact with the Web, and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Web. Web accessibility also benefits others, including older peo..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