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약 정책 정보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평가받는 우리의 전통한의약!
새롭게 거듭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과 표준화를 필요로 합니다.

그 중심에 보건복지부가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한의약사업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을까요?

jgl.bmp 

한의약 정책 비전

 그림1.png그림2.png

우리의 전통한의학에 대한 비판들을 극복하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의학으로 키워 국가경쟁력에 도움이 되도록 ,

또 국민의 건강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과학화, 산업화, 세계화에 정책의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한의약 정책 목표

그림3.png 

 한방의료의 표준화 과학화를 위해 한의약 선진화 사업을 주도하며,
한방의 안전성 유효성 확보를 위해서 한약관리 사업실행 하고 있으며,
한의약산업의 발전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다방면 한의약산업 육성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의약 선진화 사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그림5.png 

한방의료기관 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통해 의료서비스 수준의 향상 도모,
한방의료기관 이용상의 불편의 개선을 통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한 한반의료기관 서비스 평가!

한방전문병원제도 도입을 통한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만성ㆍ난치성질환의 증가 등의 영향으로
국민들의 전문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한방의료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화 도모 및 한방의료 수준 향상과 한방병원의 경영 합리화!

한의약건강증진 Hub보건소를 도시지역까지 확대해 지역사회주민들에게 중풍예방교실,
기공체조교실 등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한의약에 대한 접근성 제고와
대중화를 도모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마지막으로 지방의료원에 한방진료부를 단계적 설치를 통한
노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중풍, 당뇨, 고혈압, 심장병, 관절염 등
주요 만성ㆍ퇴행성질환에 대한 양ㆍ한방 협진모델 개발 및 협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또한  세계화 기반을 조성하는 인프라 구축 및 표준화 사업이 있겠습니다.

 다음으로 한약관리 정책을 살펴볼까요?

그림6.png 

믿을 수 있는 한약의 품질관리 기준을 확보하기 위해 수입한약재의 정밀검사 품목을
2010년까지 전품목(546품목)으로 확대하여 한약의 안전관리 강화 추진하였습니다.
한약유통실명제(한약 규격품 포장에 생산자(수입자) 성명, 원산지, 품질검사기관 등을 기재토록 하여

한약 유통질서 확립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한방의료기관과 분리된 별도의 시설에도 탕전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탕전 기준 마련하고
최소한의 위생기준을 제시하고 원외설치를 허용토록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하고,
 탕전실 제도 도입을 통해 한약제형의 변화를 도모하고 안전관리 강화 유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한의약 산업육성 정책을 살펴봅시다!

그림7.png 

한방소재 제품개발 지원 등 한의약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조직으로
대구ㆍ경북, 전남한방산업진흥원(2개소) 운영!

주요 한약재 생산지 5개 지역에 한약재 품질검사ㆍ가공 및 유통 등을
지원할 「한약재유통지원시설(BTL)」운영!

한약의 안전성ㆍ유효성 입증을 통한 근거중심 한의학 실현 및 향후
제품화 연계 가능토록 하여 세계시장 진출기반 마련!

고부가가치 식품ㆍ화장품ㆍ의약품 등으로 제품화하여 세계시장을 점유하고 미래성장동력 창출!

새로운 한방치료기술과 한약제제 개발
등을 통한
한의약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해 R&D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agsgs.bmp 

이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업무별 정책찾기-> 보건의료->한의약"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mw.go.kr/front_policy/jc/sjc0103mn.jsp?PAR_MENU_ID=06&MENU_ID=060301

blj.bmp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http://www.dgom.re.kr/

drykkt.bmp 


전라남도한방산업진흥원

http://www.jktm.or.kr/


<출처 : 보건복지부 모니터링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