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 품질마크란?
- 장애인 및 고령자가 웹 사이트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웹 접근성 표준지침을 준수한 우수 사이트에 대해 웹 접근성 수준을 인정하고 이를 상징하는 품질마크를 부여하는 인증제도
-
배경
- 웹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국내 대부분 사이트의 웹 접근성 수준은 매우 낮음
- 공공기관에서 조차도 웹 접근성이 선진국들에 비하여 낮아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중요 정보도 접근이 어려운 실태
인증대상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 인터넷을 통해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운영 기관 및 단체
- 법인등록사업자로서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시민단체, 기업체 등
기대효과
- 웹 접근성 수준 향상을 통해 지식정보사회의 정보접근권 제고
- 고객 신뢰도 및 만족도 제고와 사회적 공헌
- 국내 웹 개발 환경 개선 및 관련 기술 발전 촉진
추진체계
- 인증기관: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인증심의: ‘웹 접근성 품질마크 인증위원회’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내에 정부, 업계, 학계 및 장애인 관련 단체의 관련 전문가 10인 내외로 구성
인증신청 종류
- 인증심사: 최초 인증 신청 시
- 재심사: 인증을 받은 웹 사이트의 중대한 변화가 발생 했을 시
- 갱신심사: 인증의 유효기간 만료 시
수수료
- 인증 심사료 및 품질마크 사용료: 무료('09년 현재)